반응형 대입연산자4 자료형 변환 - 자동형변환(산술연산자) part2 대입 연산을 하는 경우에 대입 연산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동 형변환이 일어난다. 대입 연산을 할 때는 대입 연산자의 오른쪽 값이 왼쪽 값의 자료형으로 자동으로 자료형이 변환됩니다. 자동 형변환에서 프로그래머가 유의할 점은 의도하지 않는 형변환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데이터 손실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다음 예제를 가지고 대입 연산을 하는 경우 자동 형변환의 방향을 이해하고 데이터 손실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4행에서 정수는 int형 연산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컴파일러는 130을 int형으로 자동 형변환을하고, 변수 numl(char형)에 저장합니다. 이때 다음 그림처럼 대입 연산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서 int형 데이터 130이 char형으로 자동 형변환됩니다. ch.. 2022. 1. 8. 연산자 종류 - 증감연산자 증감연산자는 ++, -- 기호를 이용하는 연산자로 피연산자의 값을 1증가 또는 1감소시켜 줍니다. 증감연산자 설명 ++a(전위형) a값을 증가 한 후, 저장 a++(후위형) a값을 저장 한 후, 증가 --a(전위형) a값을 감소 한 후, 저장 a--(후위형) a값을 저장 한 후, 감소 증감 연산자의 의미는 1씩 증가 또는 1씩 감소하라는 의미입니다. ++a와 a++는(은) 'a = a + 1'과 의미가 같고, --a와 a--는(은) 'a = a - 1'의 의미와 같습니다. 다음 예제를 보겠습니다. 11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num1변수에 저장한 후 1씩 증가합니다. 17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1씩 증가 한 후 num1변수에 저장합니다. 23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num1변수에 .. 2021. 9. 7. 연산자 종류 - 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란 산술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하나로 나타내는 기호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 = a + b'는 대입 연산자 =과 덧셈 연산자 + 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대입 연산자입니다. 'a+b' 연산의결과를 다시변수 a에 저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버스 카드 충전'을 '버카충' 처럼 인간의 표현에도 간략히 표현하는 게 있듯이, 'a=a+b' 복합 대입 연산자를 간략히 표현하면 'a =+ b'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중에 코딩을 간략하게 표현하여 가독성을 높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은 복합 대입 연산자의 종류입니다.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설명 a = a + b a+=b a + b를 먼저 수행한 후에 a에 값을 저장 a = a - b a-=b a - b를 먼저 수행한.. 2021. 9. 6. 변수 선언하기 - 변수에 저장한 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다. 변수에 저장한 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다는 의미가 무엇일까? 본래 변수는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를 의미합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프로그램은 실행 중에 여러 가지 프로세싱을 통해서 변수의 데이터를 변경합니다. 변수를 임시 저장 공간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통해서 의미를 이해해 보겠습니다. 4행에서 변수 a에 10을 초기화하여 저장하고 있습니다. 6행에서 변수 b에 3.14를 초기화하여 저장하고 있습니다. 8행과 10행에서 초기화된 변수의 값을 출력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a를 출력하면 0, b를 출력하면 1이 출력됩니다. 12행에 의해서 변수 a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a+10' 을 수행합니다. 그러면 연산의 결과 값은 '10+10'이 됩니다. 다음.. 2021. 8.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