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식 문자에 적잘한 옵션을 추가하면 출력되는 데이터 필드의 폭을 조절 또는 실수타입의 소수점 조절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음은 서식 문자에 옵션을 추가하여 데이터 필드의 폭을 조절하는 예들입니다.
- %0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오른쪽 정렬해서 출력, 남은 자리는 0으로 채움
- %-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왼쪽 정렬해서 출력,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채움
- %+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오른쪽 정렬해서 출력, 양수는 +부호를 붙이고 음수는 -부호를 붙여서 출력
다음 예제를 가지고 필드 폭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예제를 가지고 실수타입의 소수점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1f - 소수점이 있는 숫자에서 소수 첫째자리까지 출력(둘째자리에서 반올림)
- %.2f - 소수점이 있는 숫자에서 소수 둘째자리까지 출력(셋째자리에서 반올림)
- %.3f - 소수점이 있는 숫자에서 소수 셋째자리까지 출력(넷째자리에서 반올림)
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nf() 함수 서식문자 - 정수 입력 (0) | 2021.08.21 |
---|---|
키보드로부터 데이터 입력받기 - scanf()함수 (0) | 2021.08.20 |
printf() 함수 서식문자 - 10진수 양수(%u), 실수 표기법(%e, %E, %g, %G, %%) (0) | 2021.08.18 |
printf() 함수 서식문자 - 문자와 문자열 출력하기(%c, %s) (2) | 2021.08.17 |
printf() 함수 서식문자 - 숫자 출력하기(%d, %i, %x, %o, %f, %lf) (3) | 2021.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