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언어/C언어

연산자 - 비교 연산자

by J코딩 2021. 9. 8.
반응형

인간 세계에서 10이 5보다 큰가? 그렇지 않은가?를 표현할 수 잇다면, 컴퓨터 세계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참과 거짓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숫자를 비교하여 참(true)과 거짓(false)로 결론짓는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합니다.

비교 연산자 설명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작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와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와 같지 않으면(다르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C언어의 비교 연산자에서는 참과 거짓을 어떻게 표현할까요? 숫자로 표현합니다. 거짓은 0으로 표현하고 참은 1로 표현합니다.(거짓(0)은 진실(1)을 이길 수 없다) 그렇다면 5는? 6은? 100은? -50은? 참일까 거짓일까? 숫자의 개념을 크게 본다면 0 이외의 모든 숫자는 참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5행에서 변수 num1을 생성한 후 값 2를 저장하고, 변수 num2 생성한 후 값 4를 저장합니다.

8행에서 변수 result1, 변수 result2, 변수 result3, 변수 result4를 생성합니다.

11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보다 크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0을 result1 변수에 저장합니다.

14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참인 1을 result2 변수에 저장합니다.

17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와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0을 result3 변수에 저장합니다. 

20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와 같지 않으면(다르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1을 result4 변수에 저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