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세계에서 10이 5보다 큰가? 그렇지 않은가?를 표현할 수 잇다면, 컴퓨터 세계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참과 거짓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숫자를 비교하여 참(true)과 거짓(false)로 결론짓는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합니다.
비교 연산자 | 예 | 설명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작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와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 | a!=b |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와 같지 않으면(다르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
C언어의 비교 연산자에서는 참과 거짓을 어떻게 표현할까요? 숫자로 표현합니다. 거짓은 0으로 표현하고 참은 1로 표현합니다.(거짓(0)은 진실(1)을 이길 수 없다) 그렇다면 5는? 6은? 100은? -50은? 참일까 거짓일까? 숫자의 개념을 크게 본다면 0 이외의 모든 숫자는 참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5행에서 변수 num1을 생성한 후 값 2를 저장하고, 변수 num2 생성한 후 값 4를 저장합니다.
8행에서 변수 result1, 변수 result2, 변수 result3, 변수 result4를 생성합니다.
11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보다 크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0을 result1 변수에 저장합니다.
14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참인 1을 result2 변수에 저장합니다.
17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와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0을 result3 변수에 저장합니다.
20행에서 변수 num1의 값 2가 변수 num2의 값 4와 같지 않으면(다르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거짓인 1을 result4 변수에 저장합니다.
'프로그래밍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 - 조건 연산자 (0) | 2021.09.17 |
---|---|
연산자 - 논리 연산자 (0) | 2021.09.11 |
연산자 종류 - 증감연산자 (0) | 2021.09.07 |
연산자 종류 - 복합 대입 연산자 (0) | 2021.09.06 |
연산자 종류 - 산술 연산자 (0) | 2021.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