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IT News

MS 빙ㆍ구글 바드가 회의적인 이유

by J코딩 2023. 2. 28.
반응형

MS빙과 구글바드는 최근 IT업계에서 핫한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이 두 기업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특히나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등 비대면 업무 환경이 확산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AI기술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과연 어떤 이유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요?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는 1956년 미국 다트머스 대학 존 매카시 교수가 처음 언급했습니다. 당시엔 컴퓨터 프로그램인 ‘지식 엔진’ 개발 과정에서 인간의 사고방식을 모방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인공지능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 데이터로부터 학습하고 예측하며 스스로 동작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인공지능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아직까지는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이세돌 9단과 바둑대결을 펼친 알파고는 프로기사와의 대결에서 4승 1패라는 압도적인 결과를 보여줬지만, 대국 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알파고가 실수했다”며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5월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해킹방어대회 데프콘 CTF 본선 대회에서도 중국 텐센트 소속 딥블루팀에게 우승을 내주며 한계점을 드러냈습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전문가들은 향후 10~20년 안에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축적될 것이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 역시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고 지적합니다. 대표적으로 윤리 문제 및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 그리고 보안문제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