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32

"보안에 성공하는 기업은 달랐다" 안전한 협업을 위한 관행 5가지 협업 및 통신보안 분야의 양상은 최근 몇 년간 달라졌다. 변화에 박차를 가한 것은 원격 업무로의 전환과 함께 기업이 서둘러 동영상 및 팀 협업 도구의 온라인화에 나선 것이다. 이는 곧 보안에 대한 우려로 이어졌다. 시장 조사 업체 메트리지(Metrigy)의 대표 겸 수석 애널리스트 어윈 라자는 "기업 내 여러 팀이 협력업체, 공급업체, 고객은 물론 내부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이 빠르게 변하면서 새로운 보안 과제가 대두됐다"라고 말했다. 최근 CSO의 인포섹 서밋(InfoSec Summit)에서 라자는 성공적으로 새로운 협업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이 보안을 위해 실천하는 방법을 조사해 공유했다. 현황 통신 및 협업 보안에 대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면 여전히 요금 사기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기업이 전화.. 2022. 8. 9.
"듀얼 vs. 울트라와이드" 나에게 적합한 모니터 구성 찾기 데스크톱 공간을 공간을 최대한 넓히고 싶은가? 여기 2가지 옵션이 있다.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또는 듀얼 모니터 설정이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공간이 크게 확장될 것이다. 하지만 울트라와이드와 듀얼 모니터 구성은 저마다 장단점이 있다. 2가지 옵션 중 자신에게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폭 : 듀얼 모니터의 승리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나 듀얼 모니터를 구입하려는 사람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공간이 많기를 원한다. 각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얻는 공간은 얼마나 될까? 가장 일반적인 크기인 34인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생각하는 것만큼 크지 않다. 높이는 27인치 와이드스크린 모니터와 거의 같으며, 너비가 약 8인치 정도 더 넓은 정도다. 반면 27인치 모니터 2개 구입.. 2022. 8. 8.
DARQ 뜻 ‘DARQ’는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분산형 대장 기술)’,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Extended Reality(확장/증강현실)’, ‘Quantum Computing(양자 컴퓨팅)’을 뜻한다.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분산형 대장 기술) 복제, 공유 또는 동기화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합의 기술이다. 이때 데이타들은 지리적으로 여러 사이트나, 여러 국가 또는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게 된다. 즉 중앙집중적인 관리자나 중앙집중의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 개인간 직접 접속(peer-to-peer)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당연히 노드 간 복제 데이터에 대한 합의 알고리즘이 .. 2022. 8. 5.
주식 투자, 인간보다 AI가 우월할까? 인공지능(AI)이 바둑이나 보드게임, 자율주행차, 단백질 구조 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얼핏 보면 인공지능이 주식시장 투자에도 잘 적용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기계학습이나 AI에 의한 의사결정이 잘 보급되지 않고 있다. 기술의 진보로 인해 온라인 결제 서비스와 인터넷뱅킹 등장으로 금융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을 접목한 핀테크(Fintech)라는 용어도 쓰이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AI에 의한 보안시스템, 자금세탁 대책, 클라이언트 신원확인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수익을 위한 주식이나 환율 등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트레이딩에 있어서 AI 보급은 그다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단순한 알고리즘은 트레이더에 의해 일반적.. 2022. 8. 5.
미 NIST, 양자내성암호 기술 4개 알고리즘 선정 양자컴퓨팅 기술 발전으로 현재 사용 중인 공개키 암호체계를 돌파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7월 5일(현지시각) 양자내성암호(PQC, post-quantum cryptography) 기술 4개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PQC Standardization Process: Announcing Four Candidates to be Standardized, Plus Fourth Round Candidates) 양자내성암호(PQC)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공격에 모두 안전한 수학적 난제에 기반한 공개키 암호알고리즘을 말한다. 앞으로 모든 보안 분야에서 양자내성암호로 전면 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미국 NIST와 유럽은 2031년까지 완전한 전환을 목표로 준비하.. 2022. 8. 4.
switch~case 문의 한계 switch~case 문은 역시 if~else 문과 같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분기의 경우의 수가 많아지면 if~else 문보다는 switch-case 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기의 수가 많아지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코드를 보다 간결하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switch~case 문이 if~else 문보다 유리한 장점을 가집니다. switch 문은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if~else 문에 비해 한계가 있습니다. 즉, switch 문은 비교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 그림은 if~else 문으로 작성한 코드에 비교 연산이 있는 경우 switch 문으로 바꾸는 것이 논리적으로.. 2022.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