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정보/IT 용어124 DARQ 뜻 ‘DARQ’는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분산형 대장 기술)’,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Extended Reality(확장/증강현실)’, ‘Quantum Computing(양자 컴퓨팅)’을 뜻한다.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분산형 대장 기술) 복제, 공유 또는 동기화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합의 기술이다. 이때 데이타들은 지리적으로 여러 사이트나, 여러 국가 또는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게 된다. 즉 중앙집중적인 관리자나 중앙집중의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 개인간 직접 접속(peer-to-peer)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당연히 노드 간 복제 데이터에 대한 합의 알고리즘이 .. 2022. 8. 5. ACN(Automatic Crash Notification) 차량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 사건에 관계된 제반 정보들을 가공 처리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메시지로 변환한 후 무선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다른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자동차 자동화 시스템이다. 2022. 7. 28. ‘IT 브랜드의 전설’··· 자바의 이름이 자바인 사연 이 상표명은 전설적이다. 그러나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프로그래밍 언어에 커피명을 어떻게, 왜 붙였는지는 여전히 확실하지 않다. 타임 매거진이 자바(Java)를 1995년의 최고의 제품 10종 가운데 하나로 지정한 이후, 자바는 미국 IT 마케팅 분야에 새로운 전설로 자리매김했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의 이 탁월한 기술이 원래대로 오크(Oak)나 그린토크(Greentalk)라는 이름을 유지했다면 어땠을까? 이처럼 성공했을까? 모를 일이다. 멋진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환경을 배포하면 당연히 인기가 있을 것이다. 이를 무엇으로 부를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한 썬(Sun)의 새 프로그래밍 언어에게는 브랜드 정체성이 중요했다. 그리고 그 일을 맡.. 2022. 7. 19. 규제 샌드박스 특정 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사업자가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을 출시하면 기존 규제를 유예하여 일정 기간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나중에 규제하는 제도이다. 첫 번째의 더 샌드박스처럼 사업자들이 마음껏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뛰어놀 수 있도록 한다고 하여 '규제 샌드박스'로 불린다. 대한민국에서는 정보통신융합법과 산업융합촉진법이 2019년 1월 17일 발효에 따라 본격으로 시행됐다. 대표적 사례로서 금융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금융규제 더 샌드박스로 데이터 관련 규제나 망분리 규제 등을 유예하는 것이 있으며, 2020년 4월 기준으로 102건의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의도도 좋고 성과도 나고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 신청자의 입장에서는 행정처리기간이 너무 길고 이익단체와 연관이 있는 사업에는 이.. 2022. 7. 11. 더 샌드박스(The SandBox) 이름 그대로 모래가 담긴 상자. 대충 '간이 놀이터'라고 보면 된다. 알다시피 일반적으로 놀이터는 바닥에 모래가 깔려있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놀이기구가 한두개쯤 빠져도 바닥에 모래만 잘 깔리면 놀이터로 인정을 받다보니, 그냥 마당용 작은 놀이터를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이 더 샌드박스다. 미국같이 주택 분야에 마당 딸린 단독주택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많은 국가에서는 흔하다. 한국에서도 원래는 아파트 놀이터에 모래가 깔렸었지만 우레탄 바닥이 일반화되면서, 더 샌드박스를 만들어 놓는 곳도 종종 있다. 아이들이 놀이터처럼 놀 수 있도록 적당한 넓이로 나무 혹은 플라스틱 틀로 만들어지며, 이 안에 모래를 채워넣기만 하면 완성된다. 더 샌드박스의 크기가 넉넉한 편이라면 역시 장난감 놀이기구 한두 개쯤 배치할 수도 .. 2022. 7. 11. 인공지능 뜻 (LaMDA, MATLAB) 인공지능 AI(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과학의 세부분야 중 하나이다. 정보공학 분야에 있어 하나의 인프라 기술이기도 하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갖고 있는 지능 즉, natural intelligence와는 다른 개념이다 지능을 갖고 있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시연(구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컴퓨터에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용어는 또한 그와 같은 지능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과학 기술 분야를 지칭하기도 한다. 1. 인공지능 기술의 실용적인 응용 인공지능의 궁극적인 목표인 인간과 같은 지능의 개발이 어려움을 겪자, 다양한 응용 분야가 .. 2022. 7. 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