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정보328

파이썬 3.11 신기능 누구보다 빠르게 알려드립니다.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의 새 버전은 연 단위로 나오는데, 상반기에는 기능 잠금(feature-locked) 상태의 베타가, 하반기에는 최종 버전이 출시된다. 최신 버전은 얼마 전에 나온 파이썬 3.11이다. 개발자는 프로덕션과 무관한 환경에서 최신 버전을 실험하면서 다른 프로그램과 잘 작동하는지, 그리고 코드에서 성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파악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는 파이썬 3.11에서 가장 중요한 새로운 기능과 이러한 기능이 파이썬 개발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자. 속도 개선 파이썬 3.11의 많은 부분에 개별적인 성능 개선이 이뤄졌지만 가장 큰 부분은 적응형 인터프리터의 특화다. 객체의 형식이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서 이제 인터프리터는 실행 중인 코드를 분석해 일반 바이트코.. 2022. 10. 27.
프로그래밍 기초 지식 개념을 머리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팀원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그 이름을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는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기본적인 용어를 조금 정의해볼까 합니다. * 자료구조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쉽게 말하면 단일 값이나 다른 자료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큰 뭉치를 말합니다. list만 하더라도 여러 값들을 담을 수 있는 것을 우리는 이미 확인했죠. the_list = [1, 2, 3, 4, 5] 자료구조는 어떤 값을 두 개 이상 담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1 2, 3], (1, 2) 등은 자료구조지만, 3, 'a' 등은 일반적으로 자료구조라고 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프로그램의 구조를 결정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수준급의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 상황에서 어떤 자료구조.. 2022. 10. 26.
코딩을 공부하는 순서 1.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부터 시작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2. 웹 (Web) = 인터넷 브라우저로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사이트. 웹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장점1) 인터넷을 사용해보았다면 누구나 익숙하다. 장점2)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장점3) 개발에 필요한 두각 많다. 장점4) Pc, 스마트폰, 태블릿, TV 등등 다양한 기기에서 동작한다. 3. 개발의 종류 (2 가지) Front-End(Client Side): 우리가 눈으로 보는 화면. EX) 메인페이지, 로그인화면, 회원가입화면, 게시판화면 Back-End(Server Side): 화면에 보여줄 정보를 저장, 처리, 가공하는 부분. EX) 로그인 하는 상황 -> F: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 B:일치 여부 확인 -> B: F에게 .. 2022. 10. 25.
아이패드 10세대 사양 집중 분석 애플은 전면 업그레이드된 기본형 아이패드를 발표했다. 홈 버튼이 없는 새로운 디자인, 상당히 커진 화면, 개선된 프로세서와 카메라, USB-C 충전 등 극적으로 향상된 점이 많다. 더 스마트해진 카메라 카메라도 개선되었다. 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에서 1,200만 화소로 높아졌고 조리개 노출도 f/2.4에서 f/1.8로 늘어났다. 이제 까다로운 조명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AI를 사용해 여러 번 노출한 것을 합치는 애플 기술인 스마트 HDR 3도 적용됐다. (아이폰 리뷰를 위해 다양한 스마트 HDR 버전을 테스트했을 때 깊은 인상을 받았다. 밝은 배경에서 그늘진 피사체를 상세하게 촬영할 때 혁신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단, 아주 최신 기술은 아니라는 점 역시 언급할 만하다. 아이폰은 2021년에 스마.. 2022. 10. 24.
카카오 먹통방지를 위한 서버 이중·이원화 이번 카카오톡(카톡) 먹통사태에 따라 서버/데이터/네트워크 이중화 및 이원화 의무가 추진된다. 서버 이중화 이원화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서버 이중화 서버 이중화란 운영중인 서비스의 안정성을 위해 각종 자원(하드웨어, OS, 미들웨어, DB 등)을 이중 혹은 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은 HA(High Availability) 서비스와 디스크 RAID 구성, 오라클의 RAC(Real Application Cluster)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목적 서버 이중화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장애 또는 재해시 빠른 서비스 재개를 위함 (Failover) 하드웨어, 미들웨어 등 다양한 지점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 서비.. 2022. 10. 19.
젯브레인, 차세대 IDE ‘플릿’ 테스트 버전 출시 젯브레인이 차세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인 플릿(Fleet)의 공개 테스트 버전을 출시했다. 지난해 11월, 플릿을 처음 발표한 이후 비공개 테스트 버전으로만 제공했지만, 이제 공개 테스트 버전으로 전환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플릿은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새로운 분산형 에디터이자 IDE로, 백엔드에 젯브레인스의 인텔리제이(IntelliJ) 플랫폼을 두고 새로운 UI 및 분산 아키텍처를 사용해 구축됐다.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빠르게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클릭 한 번으로 인텔리제이 코드 처리 엔진을 갖춘 개발 환경을 시작할 수 있으며, 코드 완성, 정의 및 사용 위치로 이동하기, 리팩터링, 즉각적인 코드 품질 검사, 빠른 수정 등의 기능도 이용할 수 있.. 2022. 10.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