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1과 0 즉, 이진(Binary) 값으로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그 이유는 현대의 컴퓨터는 전자식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기 혹은 전자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1,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0으로 표현할 수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0 또는 1 두 개의 숫자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2진수라고 합니다.
비트(Bit)는 2진수 값 하나(0 또는 1)를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모든 신호를 2진수로 고쳐서 기억합니다. 2진수에서 0, 1과 같이 신호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합니다. 비트의 의미는 2진수 값 하나(0 또는 1)를 저장할 수 있는 퇴소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여러 개으 비트를 모아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만둘 수 있는데 1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가지 수는 두 가지 (0과 1)입니다. 그럼 2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가지 수는 몇 가지일까요? 00, 01, 10, 11 네 가지입니다. 그럼 3비트는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8가지입니다. 다음에서 보인 것처럼 비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두 배씩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N개의 비트는 2n개의 서로 다른 경우들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비트 | 2비트 | 3비트 | ... | n비트 |
21 = 2개 | 22 = 4개 | 23 = 8개 | ... | 2n개 |
1바이트는 8비트이다.
8개의 연속된 비트를 바이트(Byte)라고 하는데 1바이트는 8개의 비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총 28(256)가지의 경우를 표현할 수 있는 저장 용량을 가집니다. 다음 그림은 8비트가 모여 1바이트의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각 비트 공간이 0으로 채워져 있지만, 비트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비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 연산자 - 비트 연산자 종류 (0) | 2021.09.25 |
---|---|
연산자 - 비트 연산자(2진수, 10진수, 16진수, 8진수) (0) | 2021.09.23 |
연산자 - 조건 연산자 (0) | 2021.09.17 |
연산자 - 논리 연산자 (0) | 2021.09.11 |
연산자 - 비교 연산자 (0) | 2021.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