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형 데이터 표현 범위를 나타내는 시스템 라이브러리가 있다.
데이터 표현 범위를 외워야 하는지 아니면 제시한 표현 공식으로 구해야 하는지 판단이 서지 않습니다. 당연히 둘 다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C언어에서는 정수형 자료형의 데이터 표현 범위의 최소값(MIN)과 최대값(MAX)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limits.h를 제공합니다.
C언어의 기본 문법 구조 - 전처리와 헤더 파일
1번라인처럼 #include 를 보면 특수 문자 '#'이 있습니다. 이것을 전처리기라고 합니다. 전처리기란?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https://jcoding7.tistory.com/entry
jcoding7.tistory.com
아래 예제를 통해 정수형 char(1바이트), short(2바이트), int(4바이트), long(4바이트)의 최소값(MIN)과 최대값(MAX)을 알아보겠습니다.
4행에서 헤더 파일 limits.h에서는 정수형 char, short, int, long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상수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헤더 파일을 프로그램에 인클루드(#include)해서 정수형 상수를 호출하기만 하면 최소값과 최대값을 알 수 있습니다.
10행에서 정수형 char(1바이트)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상수 CHAR_MIN과 CHAR_MAX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11행에서 정수형 short(2바이트)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상수 SHRT_MIN과 SHRT_MAX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12행에서 정수형 int(4바이트)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상수 INT_MIN과 INT_MAX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13행에서 정수형 long(4바이트)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상수 LONG_MIN과 LONG_MAX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정수형은 int형을 선호한다. (0) | 2021.10.16 |
---|---|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unsigned 자료형 (0) | 2021.10.15 |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정수형 (0) | 2021.10.11 |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sizeof 연산자로 자료형의 크기를 구한다 (0) | 2021.10.06 |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자료형의 의미와 종류 (0) | 2021.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