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언어/C언어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정수형은 int형을 선호한다.

by J코딩 2021. 10. 16.
반응형

정수형 자료형에는 char형, short형, int형, long형과 같은 세부 자료형이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100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를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정수형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가요? 다음 그림을 잠시 보겠습니다.

char형과 int형의 메모리 공간의 차이

앞의 그림에서 변수 num1은 1바이트의 메모릭 공간을 갖게 되고 여기에 100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변수 num2는 4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을 갖게 되고 여기에 100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같은 데이터 100을 저장하고 있지만, 변수 num1은 1바이트 크기를 사용하고 변수 num2는 4바이트 크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메모리 크기가 1바이트를 차지하는 char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를 선언할 때는 주로 int형을 사용ㅎ합니다. 이유는 정수형 저료형 중에서도 int형을 CPU가 가장 빠르게 처리하는 자료형이기 때문입니다.

 

CPU가 int형 연산을 가장 빠르게 처리하는 이유는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컴퓨터들은 32비트 이상의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CPUT가 연산하는 기본 단위가 최소 32비트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정수 데이터를 char형 변수에 저장하여 덧셈 연산을 할 경우 그 데이터를 int형(4바이트는 32비트)으로 바꿔서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