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82

변수 선언하기 - 변수란 가정에서 사용한 가정용 분리수거함의 용도를 생각하면 분리수거할 것을 담아두는 임시 저장 공간의 성격이 짙습니다. 컴퓨팅 세계에서 가정용 분리수거함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변수입니다.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 저장 공간과 같습니다. 그래서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분리수거(가정용 분리수거함에 담긴 분리수거내용물), 다시 말해서 데이터(변수에 저장된 내용)가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것을 저장 할 수 있습니다. 실세계와 컴퓨팅 세계를 연관 지어서 이해하는 것은 사용 목적을 이해하는데 좋은 방법이 됩니다. 변수란 C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숫자나 문자,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려면 임시 저장 공간, 즉 메모리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공간을 변수라고 합니다. 정리하면 변수는 데이터.. 2021. 8. 24.
scanf() 함수 서식문자 - 실수 입력 이제 실수값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서식 문자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행에서 실수(소수점 있는 숫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변수 f1, f2를 float형으로 선언합니다. 5행에서 실수(소수점 있는 숫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변수 d1, d2를 double형으로 선언합니다. 실수형 변수는 double형 변수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8행에서 "float형 실수 두 개 입력"을 출력합니다. 10행에서 서식 문자 %f와 %e를 통해서 키보드로부터 두 개의 실수를 각각 입력받아 변수 f1과 f2에 저장합니다. 12행에서 f1과 f2에 저장된 데이터를 %d와 %e를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14행에서 "double형 실수 두 개 입력"을 출력합니다. 16행에서 서식 문자 %lf와 %le를 통해서 키보드로.. 2021. 8. 23.
scanf() 함수 서식문자 - 정수 입력 scanf() 함수의 printf() 함수에서처럼 "formatted" 서식화된의 의미로 같은 서식 문자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0진수, 8진수, 16진수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습니다. 입력 서식 문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에 기록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입력 서식 문자 서식 문자 입력 형태 %d 10진수 정수 입력 %x 16진수 정수 입력 %o 8진수 정수 입력 %f float형 실수 입력 %lf double형 실수 입력 %c 한 개의 문자 입력 %s 문자열 입력 %u 10진수 정수(양수만 표현 가능) 입력 %e float형 e 표기법에 의한 실수 입력 %le double형 e 표기법에 의한 실수 입력 https://jcoding7.tistory.com/.. 2021. 8. 21.
키보드로부터 데이터 입력받기 - scanf()함수 printf() 함수는 필요한 데이터를 서식 문자에 맞게 모니터에 출력하는 표준 출력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모니터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알았으니, 키보드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scanf() 함수에 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을 표준 입력, 모니터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표준 출력이라 한다.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함수는 scanf() 함수입니다. 이 함수 역시 printf() 함수와 같이 stdio.h 헤더 파일에 정의된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입니다. 따라서 이 함수를 사용하려면 printf() 함수와 마찬가지로 코드에 stdio.h 헤더 파일을 인크루드(include)해야 합니다. scanf() 함수의 기본 구조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2021. 8. 20.
printf() 함수 서식문자 - 필드 폭 지정, 소수점 조정 서식 문자에 적잘한 옵션을 추가하면 출력되는 데이터 필드의 폭을 조절 또는 실수타입의 소수점 조절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음은 서식 문자에 옵션을 추가하여 데이터 필드의 폭을 조절하는 예들입니다. %0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오른쪽 정렬해서 출력, 남은 자리는 0으로 채움 %-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왼쪽 정렬해서 출력,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채움 %+3d - 필드폭을 3칸 확보하고, 오른쪽 정렬해서 출력, 양수는 +부호를 붙이고 음수는 -부호를 붙여서 출력 다음 예제를 가지고 필드 폭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예제를 가지고 실수타입의 소수점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f - 소수점.. 2021. 8. 19.
printf() 함수 서식문자 - 10진수 양수(%u), 실수 표기법(%e, %E, %g, %G, %%) 서식 문자 %u를 사용하면 %d로 출력할 수 있는 양수의 범위보다 두 배 더 넓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는 서식 문자 %d와 %u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는 코드입니다. 6행에서 서식 문자 %d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기본적으로 int타입의 범위인 -2,147,483,648 ~ 2,147,483,647을 출력하고 있습니다. 10행에서 최대값보다 큰 값을 출력하려고 하니까 이상한 음수 값이 출력됩니다. 이는 overflow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2,147,483,650은 2,147,483,647보다 3만큼 overflow하였고, 그 수만큼 음수에서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위 결과처럼 -2147483646이 되는 것입니다. 12행에서 서식 문자 %d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 2,147,483,647보.. 2021.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