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82 연산자 - 비트 연산자(비트와 바이트)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1과 0 즉, 이진(Binary) 값으로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그 이유는 현대의 컴퓨터는 전자식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기 혹은 전자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1,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0으로 표현할 수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0 또는 1 두 개의 숫자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2진수라고 합니다. 비트(Bit)는 2진수 값 하나(0 또는 1)를 저장할 수 있는 최소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모든 신호를 2진수로 고쳐서 기억합니다. 2진수에서 0, 1과 같이 신호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합니다. 비트의 의미는 2진수 값 하나(0 또는 1)를 저장할 수 있는 퇴소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여러 개으 비트를 모.. 2021. 9. 19. 연산자 - 조건 연산자 조건 연산자의 형태와 연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건식(피연산자1)은 판단의 결과로 참(True)과 거짓(False)을 내는 식입니다. 조건식이 참(True)이면 피연산자2가 실행되고, 거짓(False)이면 피연산자3이 실행됩니다. 그럼 예제를 가지고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9행을 보면 조건식 num1 > num2가 참인 경우 result1=num1이 수행되고, 반대로 num1 > num2가 거짓인 경우 result1=num2가 수행됩니다. 2021. 9. 17. 연산자 -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의 종류에는 &&, ||, !와 같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 : AND연산자로서 두 조건이 있을 때 둘 다 조건에 성립해야 함. ex) 합격은 서류점수가 60점이상이고, 면접점수가 60점 이상이면 최종합격입니다. || : OR연산자로서 두 조건이 있을 때 둘 중 하나만 조건에 성립하면 됨. ex) 최종 합격은 서류점수가 60점이상이거나, 면접점수가 60점 이상이면 최종합격입니다. ! : NOT연산자로서 조건이 있을 때 그 조건과 반대가 됨 ex) 최종 결과가 합격이면, 불합격, 불합격이면 합격이 됨. && 연산자의 결과는 피연산자가 모두 1(참)일 때만 1(참)입니다. 피연산자 연산자 피연산자 결과 0 && 0 0 0 && 1 0 1 && 0 0 1 && 1 1 || 연산자의 결과는 피연산.. 2021. 9. 11. 연산자 - 비교 연산자 인간 세계에서 10이 5보다 큰가? 그렇지 않은가?를 표현할 수 잇다면, 컴퓨터 세계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참과 거짓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숫자를 비교하여 참(true)과 거짓(false)로 결론짓는 연산자를 비교 연산자라고 합니다. 비교 연산자 예 설명 > a>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b 피연산자 a가 피연산자 b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2021. 9. 8. 연산자 종류 - 증감연산자 증감연산자는 ++, -- 기호를 이용하는 연산자로 피연산자의 값을 1증가 또는 1감소시켜 줍니다. 증감연산자 설명 ++a(전위형) a값을 증가 한 후, 저장 a++(후위형) a값을 저장 한 후, 증가 --a(전위형) a값을 감소 한 후, 저장 a--(후위형) a값을 저장 한 후, 감소 증감 연산자의 의미는 1씩 증가 또는 1씩 감소하라는 의미입니다. ++a와 a++는(은) 'a = a + 1'과 의미가 같고, --a와 a--는(은) 'a = a - 1'의 의미와 같습니다. 다음 예제를 보겠습니다. 11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num1변수에 저장한 후 1씩 증가합니다. 17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1씩 증가 한 후 num1변수에 저장합니다. 23행에서 num1변수에 있는 값을 num1변수에 .. 2021. 9. 7. 연산자 종류 - 복합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란 산술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하나로 나타내는 기호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 = a + b'는 대입 연산자 =과 덧셈 연산자 + 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대입 연산자입니다. 'a+b' 연산의결과를 다시변수 a에 저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버스 카드 충전'을 '버카충' 처럼 인간의 표현에도 간략히 표현하는 게 있듯이, 'a=a+b' 복합 대입 연산자를 간략히 표현하면 'a =+ b'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중에 코딩을 간략하게 표현하여 가독성을 높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은 복합 대입 연산자의 종류입니다.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설명 a = a + b a+=b a + b를 먼저 수행한 후에 a에 값을 저장 a = a - b a-=b a - b를 먼저 수행한.. 2021. 9.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