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82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정수형 32비트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C언어에서 정수형 char(1바이트), short(2바이트), int (4바이트), long(4바이트) 자료형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차이는 바로 할당되는 메모리 크기였습니다. 메모리 크기는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범위와 관련이 됩니다. 다음 표는 정수형 자료형들의 데이터 표현 범위를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정수형 메모리 크기 데이터 표현 범위 char 1바이트(8비트) -128 ~ +127 short 2바이트(16비트) -32768 ~ +32767 int 4바이트(32비트) -2147483648 ~ +2147483647 long 4바이트(32비트) -2147483648 ~ +2147483647 먼저 앞의 표를 통해 최소값(MIN)과 최대값(MAX)을 보는 방법을 알아봅.. 2021. 10. 11.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sizeof 연산자로 자료형의 크기를 구한다 자료형에는 크게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습니다. https://jcoding7.tistory.com/entry/%EC%9E%90%EB%A3%8C%ED%98%95%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EC%9E%90%EB%A3%8C%ED%98%95%EC%9D%98-%EC%9D%98%EB%AF%B8%EC%99%80-%EC%A2%85%EB%A5%98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자료형의 의미와 종류 앞에서 배운 변수라는 메모리공간에도 데이터 형식(Type)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형 데이터, 실수형 데이터, 문자형 데이터...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게 변수에 데이터 형 jcoding7.tistory.com 정수형에는 char형, sh.. 2021. 10. 6.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자료형의 의미와 종류 앞에서 배운 변수라는 메모리공간에도 데이터 형식(Type)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형 데이터, 실수형 데이터, 문자형 데이터...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게 변수에 데이터 형식을 지정하게 됩니다. 이것이 자료형입니다. https://jcoding7.tistory.com/entry/%EB%B3%80%EC%88%98-%EC%84%A0%EC%96%B8%ED%95%98%EA%B8%B0-%EB%B3%80%EC%88%98%EB%9E%80 변수 선언하기 - 변수란 가정에서 사용한 가정용 분리수거함의 용도를 생각하면 분리수거할 것을 담아두는 임시 저장 공간의 성격이 짙습니다. 컴퓨팅 세계에서 가정용 분리수거함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변수입니 jcoding7.tistory.com 변수가 저장하는 데.. 2021. 10. 5.
연산자란 무엇인가 - 연습문제 1. 키보드로부터 새 정수를 입력받아 (x + y) * (x + z) / (y % z)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put x : 4 input y : 5 input z : 2 (x + y) * (x + z) / (y % z) = 54 2. 두 수를 입력받아서 둘 중 작은 값을 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두 수가 같으면 '같음'을 출력합니다. 조건 연산자를 이용하세요. input x : 5 input y : 2 Smaller Number : 2 3.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결과 값을 예상해 보고 분석해 보세요. 4. 사용자로부터 정수 세 개를 입력받아 정수형 변수 a, b, c에 각각 저장한 후,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여 이들 변수 중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 2021. 10. 3.
연산자 우선순위 한 수식에서 여러 연산자가 사용된 경우에는 각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연상이 차례로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1-2*3'과 같은 식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곱셈이 먼저 수행되고, 그 결과값이 다시 1과 뺄셈이 수행되어 결과적으로 5가 됩니다. 만약 뺄셈이 먼저 수행되게 하려면 '(1-2)*3'과 같이 괄호로 묶으면 됩니다. 괄호도 C언어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 연산자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우선순위가 같은 연산자가 동시에 사용될 때 연산 방향에 의해서 연산 순서가 결정되는데, 연산 방향이란 연산의 순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할 것인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곱셈과 나눗셈은 연산의 우선순위가 같은데, 이런 경우네는 항상 왼쪽부터 연산을 수행하게 교칙을 정해 놓은 것입니다. .. 2021. 10. 1.
비트 연산자 - << 연산자와 >> 연산자 (왼쪽시프트연산자, 오른쪽시프트연산자) 비트 연산자 연산식 설명 & a & b 비트 단위 AND 연산 | a | b 비트 단위 OR 연산 ^ a ^ b 비트 단위 XOR 연산 ~ ~a 비트 단위 NOT 연산 > 1 오른쪽으로 비트 한 칸 이동 비트를 이동시키는 연산자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 연산자(오른쪽 시프트 연산자)입니다. 이렇게 비트를 이동시키는 연산자를 시프트(Shift) 연산자 또는 이동 연산자라고 부릅니다. 먼저 왼쪽 시프트 연산자(> 1에서 변수 num2의 10진수 -10을 오른쪽으로 1비트만큼 이동시키면, 오른쪽 1비트가 사라집니다. 그래서 전체 비트가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렇게 맨 왼쪽에 1비트만큼의 빈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변수 num2는 음수이므로 빈 공간을 1로 채워 놓습니다. 그래서 최종.. 2021. 9. 30.
반응형